서킷 브레이커 2

24.08.12 TIL - MSA 구성 요소들

오늘 배운 것MSA 구성 요소들서비스 디스커버리 = Eureka Server, ClientHTTP 클라이언트 및 로드밸런서 = FeignClient & Ribbon서킷 브레이커 = Resilience4jAPI gateway = Spring Cloud GatewayConfig Server = Spring Cloud Config분산 추적 및 로깅 = Zipkin 개요MSA를 학습하며 많은 것들을 배웠다.  그중 정리해 볼 만한 것들을 가져와 봤다.  간단하고 큰 그림을 그릴 수 있도록 작성할 예정이다.  서비스 디스커버리 (Eureka Server, Client)서비스 디스커버리는 MSA에서 각 서비스의 위치를 동적으로 관리하고 찾아주는 기능이다. 이 중 Eureka라는 것이 있고 이것을 사용해봤다.   M..

TIL 2024.08.13

24.08.09 TIL - 서킷 브레이커 & Resilience4j

오늘 배운 것서킷 브레이커Resilience4j 서킷 브레이커란마이크로서비스 간의 호출 실패를 감지하고 시스템의 전체적인 안정성을 유지하는 패턴이다. 외부 서비스 호출 실패 시 빠른 실패를 통해 장애를 격리한다.장애를 격리해 시스템의 다른 부분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태라는 것이 존재한다 (CLOSED, OPEN, HALF_OPEN)   Resilience4j란Resilience4j는 서킷 브레이커 라이브러리다.다양한 서킷 브레이커 기능을 제공한다. 서킷 브레이커 상태를 통해 호출 실패를 관리한다. Fallback이라는 호출 실패 시 대체 로직 제공해 시스템 안전성 확보모니터링 및 관리 가능한 도구 제공 Fallback이란Fallback 메서드는 정상 동작 메서드가 실패했을 때 대체 로직을..

TIL 2024.0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