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63

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 (지상편) - Sprint 1, 2 Section 9 복습

Application 기능으로 이해하기 - Configmap, Secret 이번 section은 오브젝트 중 Configmap, Secret에 대해서 알아보는 section이다. 간략히 알아보는 Configmap, Secret아래의 방법들은 기존에도 사용하는 방법이다. app에 값을 넘겨주는 방법으로 환경 변수 사용민감한 데이터의 경우 암호화 시켜 파일에 담아 사용쿠버네티스의 Configmap과 Secret이 이 역할을 해주는 것이다. ConfigmapConfigmap은 쿠버네티스에서 설정 정보 (환경 변수, 설정 파일 등)을 key-value 쌍 형태로 저장하고 관리하는 오브젝트다. 컨테이너가 실행될 때 필요한 환경 설정 값을 분리해서 외부에서 주입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다. 역할과 목적은 아래와..

K8S 2025.06.20

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 (지상편) - Sprint 1, 2 Section 8 복습

Application 기능으로 이해하기 - Probe 이번 section은 오브젝트 중 Pod의 probe의 기능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는 section이다. 쿠버네티스가 제공하는 놀라운 기능 중 몇 개가 이 probe가 제공하고 있었다. Probe 기본 개념probe에는 아래와 같이 3가지 종류가 있다. 각 probe의 설명과 하는 일을 간단히 적었다. startupProbe쿠버네티스에서 컨테이너 초기화 상태 확인 위한 probe컨테이너가 처음 시작될 때 실행되고 readinessProbe, livenessProbe 동작하기 전에 종료됨즉 pod가 잘 생성되었는지 파악하기 위한 probepod가 잘 생성되어 응답이 있다면 종료pod가 잘 생성되지 않으면 컨테이너 재시작긴 초기화 시간 필요한 app의 ..

K8S 2025.06.19

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 (지상편) - Sprint 1, 2 미션 5

Docker와 Containerd 명령 실습 [미션5] 컨테이너 런타임에는 도커, containerd 등 여러가지가 있다. 이 중 가장 유명한 도커와 쿠버네티스에서 자리잡은 containerd가 있다. 모두 표준 규약을 지키기 때문에 컨테이너 이미지를 다른 컨테이너 런타임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쿠버네티스에서는 컨테이너 런타임으로 containerd를 사용하고 있다. 도커 이미지를 다운 받아서 쿠버네티스로 넘겨 사용하는 경우가 생기기도 한다. 아래 그림과 같은 상황이다. 그래서 도커 이미지를 파일로 변환해 쿠버네티스가 있는 서버로 전송 후 파일을 다시 이미지로 변환해 컨테이너를 띄울 수 있어야 한다. 아래 그림에서 [도커 6] → [도커 7] → [containerd 7] 순으로 작업하면 된다. 이..

K8S 2025.06.17

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 (지상편) - Sprint 1, 2 Section 7 복습

Object 그려보며 이해하기section 7의 제목은 'Object 그려보며 이해하기' 이다.Object는 쿠버네티스의 기능 중 특정 역할을 하는 것들이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다.각각이 하는 일이 있고 역할이 있다. 쿠버네티스의 pod를 구성하는 것들이라고 이해를 했다. 이 section에서는 object들을 하나씩 그려보며 역할, 기능을 본다. 다음 section들에서 쿠버네티스의 기능들을 사용해보며 object의 핵심 기능을 공부한다.마지막으로 쿠버네티스 컴포넌트가 object들 어떻게 동작 시키는지 본다. 알아볼 Object들은 다음과 같다. NamespaceDeploymentServiceConfigMap, SecretPVC, PVHPA이제 각 Object들을 설정할 때 어떻게 하는지, 설정..

K8S 2025.06.14

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 (지상편) - Sprint 1, 2 Section 5 복습

실무에서 느껴 본 쿠버네티스가 정말 편한 이유 쿠버네티스 표준 생태계로 편해진 IT 인프라 구축쿠버네티스 기반 it 생태계가 매우 커지고 쿠버네티스가 굉장히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쿠버네티스 나온지 10년 안됐는데 아래 그림과 같이 많은 제품들이 쿠버네티스 생태계 위에서 돌아간다. 클라우드 생태계를 영역별로 카테고리화 하고 많은 제품들 중 생태계에 영향력이 있는 제품들을 분류해보면 아래와 같다. 각 카테고리에 대한 설명을 보자.개발 파트개발에서 배포까지 사용하는 기술오케스트레이션 / 매니징 파트개발한 app을 마이크로 서비스로 만들 때 사용하는 기술플랫폼 / 런타임 파트app을 클라우드에 올릴 때 사용하는 기술프로비저닝 / 분석 파트실제 프로젝트에서 사용하는 기술 프로젝트에서 app을 마이크로 서비스로 ..

K8S 2025.06.13

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 (지상편) - Sprint 1, 2 미션 4

PV, PVC Local 동작 확인PV, PVC 사용해서 master node의 공간을 사용하는 것이다. 아래의 요청, 명령어를 따라 어떤 공간에 파일이 저장되고 pod 삭제 후에도 남아 있는지 보는 것이다. // 1번 API - 파일 생성http://192.168.56.30:31231/create-file-podhttp://192.168.56.30:31231/create-file-pv// 2번 - Container 임시 폴더 확인[root@k8s-master ~]# kubectl exec -n anotherclass-123 -it -- ls /usr/src/myapp/tmp// 2번 - Container 영구저장 폴더 확인[root@k8s-master ~]# kubectl exec -n another..

K8S 2025.06.10

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 (지상편) - Sprint 1, 2 미션 3

응용 과제 응용 1Configmap의 환경변수들을 Secret을 사용해서 작성하고, App에서는 같은 결과가 나오도록 확인해 보세요.Configmap에서 사용하던 값들을 Secret으로 만듬Deployment의 envFrom에 secretRef에 환경 변수 주입ConfigMap의 환경 변수를 주입하려면 원래는 envFrom에 configMapRef을 사용Secret을 이렇게 사용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함 step 1 : Secret 생성 dashboard에서 쉽게 Secret 만드는 방법을 볼 것이다. dashboard에서 +를 눌러 아래 yaml 파일을 넣으면 된다. 가장 아래에 stringData로 원래 Configmap의 환경 변수들이 들어가는 것을 볼 수 있다. apiVersion: v1kind..

K8S 2025.06.10

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 (지상편) - Sprint 1, 2 미션 2

응용 과제 응용 1startupProbe가 실패 되도록 설정해서 Pod가 무한 재기동 상태가 되도록 설정해 보세요. (여러분들이 가장 많이 겪게될 Pod 에러입니다) How?startupProbe에 failureThreshold 수치를 App이 기동안되도록 낮추면 됩니다.(Pod가 아닌 Deployment를 수정해 주세요.) startupProbe에 failureThreshold 의미 = startupProbe가 연속으로 몇 번 실패하면 해당 컨테이너를 비정상으로 간주할 것인지?이 값을 1로 바꾼다면 처음에 App이 기동 중일 때 응답 받을 수 없어 실패 발생 시 컨테이너 비정상으로 간주한다. 그래서 컨테이너를 재기동 하지만 똑같이 1번 실패 후 재기동하여 무한 재기동 상태가 되는 것 k8s dashbo..

K8S 2025.06.10

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 (지상편) - Sprint 1, 2 미션 1

쿠버네티스 무게감 있게 설치하기 - 구간별 상태 확인 [1-1] 내 PC 네트워크 확인cmd > ipconfig로 확인 [1-2] 내 PC 자원 확인작업 관리자 > 성능 탭에서 확인 [1-3] VirtualBox 설치 버전 확인VirtualBox 실행 > 도움말 > VirtualBox 정보에서 확인 [1-4] Vagrant 설치 버전 확인 cmd > vagrant --version 명령어로 확인 [1-5] 원격 접속 (MobaXterm) 설치 버전 확인MobaXterm 실행 > Help > About MobaXterm에서 확인 [2-1] VirtualBox VM 확인VM의 이름 확인 [2-2] 내 VM에 적용된 NAT 확인k8s_master-node 마우스 우클릭 > 설정 > 네트워크 > 어댑터 1에서 ..

K8S 2025.06.03

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 (지상편) - Sprint 1, 2 Section 4 복습

쿠버네티스 무게감 있게 설치하기section 4의 제목은 '쿠버네티스 무게감 있게 설치하기'이다. 쿠버네티스 설치를 진행하는 section이다. 설치 과정을 이해하면 좋은 점이 쿠버네티스의 자체 구성을 알 수 있게 된다. 쿠버네티스의 자체 구성을 알고 개념을 공부하면 개념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다고 한다. 강의에서 다루는 전체 환경 및 실습 방법개발의 pipeline에 3가지 환경이 있다. 개발 환경CI/CD 환경인프라 환경이번 section에서는 인프라 환경만 설치하는 것이다. 하지만 각 환경에 어떤 것들이 설치되고 어떻게 이용되는지 흐름을 보자. 각 환경에 필요한 도구들은 아래와 같다. 개발 환경IntelliJ Spring Boot Java OpenJDK GradleCI/CD 환경Rocky Li..

K8S 2025.06.01